SKIP NAVIGATION
close
SDJ 콘텐츠 키비주얼 이미지입니다.

SAMSUNG DESIGN JAPAN

The Origin
and Starting Point
of New Business

신사업의 출발지이자 시작점

  • Norio Okada의 프로필 사진입니다.
    Norio Okada

    Head of Office, SDJ

“ 긴밀하게 협력하며 신사업의 기회를 그려 나간다. ”

SDJ 디자이너들이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요즘 일본의 소비 문화가 궁금하다.

Norio ‘단샤리(断捨離)’라는 ‘최소한의 삶’이 유행이다. 자연스럽게 물건 하나를 사더라도 좋은 품질의 것을 엄선해서 사는 경향이 짙다.

그럼에도 개성을 중시하는 풍토도 있지 않나.

Norio 맞다.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남과는 다른, 자신만의 개성을 전면에 내세우고 싶은 사람도 많다. 대부분 개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일본에서 유행하는 디자인 트렌드도 따로 있을 것 같다.

Norio ‘귀여워’라는 뜻의 ‘Kawaii’가 뿌리 깊은 트렌드 중 하나다. 특히 핑크는 패션 아이템을 중심으로 여러 소재들과 접목되거나 그라데이션, 이리디센트 컬러(Iridescent Color) 등으로 조합되면서 트렌드를 이끈다. 최근 ‘Kawaii’의 뉘앙스가 ‘Kakko Kawaii*’나 ‘Otona Kawaii*’로 확장하고 있는데 그 중심엔 역시 핑크가 있다.

Kakko Kawaii 카코이이(멋지다)와 카와이이(귀엽다)의 조어로 쿨한 귀여움을 의미한다.

Otona Kawaii 오토나(어른)와 카와이이(귀엽다)의 조어로 어른스러운 귀여움을 의미한다.

  • SDJ 디자이너들의 스케치 이미지입니다.

    Galaxy J

  • SDJ 디자이너들의 스케치 이미지입니다.

    8FLICK UX

갤럭시 J의 컬러도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 같다.

Norio 맞다. 이전에 개발한 갤럭시 J는 일본 시장 전용 모델로 SDJ가 제품, UX, CMF 디자인 전반을 담당했다. 외관은 접합선(Parting Line)을 최소화하고 그래픽 패턴도 없애 단순미를 살렸고, 20, 30대 젊은 일본 여성이 선호하는 핑크와 화이트를 전면에 내세웠다. 반응이 좋아 이후 대만에 출시되는 제품에도 같은 외관 디자인과 색을 반영하기도 했다.

  • SDJ 디자이너들의 스케치 이미지입니다.
  • SDJ 디자이너들의 스케치 이미지입니다.
  • SDJ 디자이너들의 스케치 이미지입니다.

    Galaxy J

  • SDJ 디자이너들의 스케치 이미지입니다.

    8FLICK UX

갤럭시 J의 일본어 시스템, 8FLICK도 주요 디자인 포인트라고 들었다.

Norio 일본은 히라가나, 카타카나, 한자를 동시에 쓴다. 모바일 문자 입력 시스템을 일본에 맞게 최적화한 디자인이 중요했다. 8FLICK은 한정된 스마트폰 화면에서 히라가나, 카타카나, 한자를 빠르게 전환하면서 오타 없이 텍스트를 쓸 수 있다.

  • 함께 일하고 있는 SDJ 디자이너들의 모습입니다.
  • 함께 일하고 있는 SDJ 디자이너들의 모습입니다.
  • 함께 일하고 있는 SDJ 디자이너들의 모습입니다.

트렌드를 디자인에 반영할 때 무엇이 가장 중요하나.

Norio 글로벌 트렌드든 일본 특유의 트렌드든 그대로 옮기는 건 어려운 일이다. 실제 제품이 쓰일 곳의 문화적 배경, 생활습관, 시장 성숙도 등 차이를 포착하고 조정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럴 때 SDJ만이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나.

Norio 풋워크(Footwork)랄까. 아무래도 작은 조직이다 보니 가볍게 움직일 수 있다. 일본의 강점인 선행 CMF와 혁신 기술을 빠르게 도입해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선행 개발 제안의 수준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전을 거듭하고 있다. 앞으로도 최소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며 좋은 디자인 스튜디오의 본보기가 되고 싶다.

  • SDJ 오피스 내부 모습입니다.
  • SDJ 오피스 내부 모습입니다.

SDJ의 목표는 무엇인가.

Norio 일본에서 제안한 선행 디자인이 삼성전자 신규 비즈니스 창출과 사업 공헌으로 이어졌으면 좋겠다. 이는 서울에 있는 디자이너들과 긴밀한 협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서울 디자인 오피스와 시너지를 만드는 협력 관계를 디자인하는 것도 제품 디자인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