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close
SDD 콘텐츠 키비주얼 이미지입니다.

SAMSUNG DESIGN DELHI

Global Design
That Embodies
Unique Character

개성을 갖춘 글로벌 디자인

  • Mahelaqua의 프로필 사진입니다.
    Mahelaqua

    Senior Designer, SDD

  • Monika Chandra의 프로필 사진입니다.
    Monika Chandra

    Senior Designer, SDD

“ 세계와 현지가 하나의 디자인이 되어 또렷이 빛난다. ”

함께 일하고 있는 SDD 디자이너 이미지입니다.

최근 인도에서 주목할 만한 동향이 있다면 들려 달라.

Mahelaqua 인도는 Z세대와 밀레니얼 인구가 세계에서 가장 많다. 심지어 중국을 넘어선다. 글로벌 회사 입장에서 이는 매력적인 요인이다. 이들은 세계화의 속도를 높이는 한편 인도 Z세대와 밀레니얼의 독특하고 다양한 현지 요구에 집중한다. 인도 Z세대와 밀레니얼은 인도라는 뿌리, 문화, 사회와 감정적으로 밀접한 만큼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은 글로벌 트렌드와 현지 영감이 뒤섞여 있다.

땅도 넓고 인구도 많은 만큼 문화도 다채로울 것 같다.

Monika 맞다. 전 세계에서 온 개척자와 지배자들을 거친 탓에 인도는 각종 문화가 녹아 있는 용광로와 같다. 오랜 기간 계승되면서 오늘날 인도의 문화 다양성을 만든 토속 문화와 여러 요인들이 다양한 문화와 사고방식을 낳았다. 그리고 그게 다가 아니다. 인구적 다양성 덕분에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 중이다. 거대한 Z세대와 밀레니얼 인구에서도 드러나듯 인도의 근로 가능 인구는 계속 늘고 있다.

그런 다양성을 포용하는 SDD만의 비결이 있나.

Monika SDD가 있는 델리는 인도의 경제, 산업의 허브다. 포춘지(Fortune)가 선정한 500대 기업 중 250개 이상이 이곳 출신이고, 7,000개가 넘는 스타트업의 고향이기도 하다. 이런 도시 특성은 우리가 계속 앞서 나가고 트렌드를 받아들이면서 주요 이슈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돕는다. Mahelaqua SDD는 인도의 서로 다른 지역 출신 디자이너들로 구성돼 현지 요구와 기회를 더 잘 이해한다. 신속하고 의미 있게, 열린 사고로 상황에 반응할 수 있다.

현지 특색을 디자인에 반영할 때 어디에 중점을 두나.

Monika 글로벌에서 통용되는 미학과 현지에서 얻은 통찰은 언제나 결합되어야 한다. 우리는 세계의 유행을 따르면서도 실제 집안에 놓였을 때나 쓰일 때 튀지 않고 잘 어우러지는 디자인을 만들어야 한다. Mahelaqua 의미 있으면서 확장 가능한 혁신으로 현지 요구를 이해하고 충족시키겠다는 게 SDD의 미션이다. 지난 몇 년간 인도 삼성전자의 개발, 영업, 마케팅팀과 긴밀히 협업하며 다양한 현지 혁신을 이끌 수 있는 UX 디자인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했다. 우리는 인도 Z세대나 밀레니얼이 혁신적인 시장을 대표하면서 글로벌 인사이트에 영향을 준다고 믿는다.

동백꽃 꽃무늬를 적용한 냉장고 이미지이다.

Camellia Pattern Refrigerator

최근 냉장고 도어에 넣은 동백꽃이 인상적이다.

Monika 인도인이 꽃무늬 패턴을 좋아한다는 인사이트를 얻었다. 옛부터 꽃은 신을 즐겁게 하는 수단이자 풍요의 상징이고 수많은 전통 공예의 영감이었다. 우리는 이번에 동백꽃을 택했다. 인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기도 하고 인도 장미와 닮기도 했기 때문이다. 꽃잎 레이어마다 투명도를 다르게 주고 꽃무늬 패턴을 과장해 극적인 느낌을 냈다.

디자인할 때 어려웠던 점은 없었나.

Monika 아까 인구적 다양성을 살짝 언급했는데, 진보적으로 사고하는 젊은 세대는 물론 전통적인 감수성을 지닌 세대까지 아우르는 디자인을 만드는 게 도전이었다. 꽃무늬가 아닌 기하학 디자인을 시작한 이유기도 하다. 2020년에 몇 가지 디자인을 인도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 갤럭시 J2 코어 스마트폰 제품 이미지이다.

Galaxy J2 Core

갤럭시 J2 코어 스마트폰 전체 UX 디자인도 진행했다고 들었는데.

Mahelaqua 맞다. 인도풍 시그니처 스타일의 젊고 혁신적인 UX를 탑재한 저사양 스마트폰이다.

디자인 과정에서 중요한 목표가 무엇이었나.

Mahelaqua 빅 데이터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처음 스마트폰을 쓰는 사람을 위한 쉬운 UX를 디자인하는 게 미션이었다. 사용 시 행동과 패턴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기능과 깊이를 강화할 수 있게 자신감 있는 결정을 내렸다. 불필요하고 안 쓰이는 기능은 제거했다. 덕분에 의미 있고 쉬우면서도, 빅 데이터에 바탕을 두고 더 나은 퍼포먼스로 이어지는 갤럭시 J2 코어 UX를 만들 수 있었다.

  • SDD 사무실 내부 이미지이다.
  • SDD 사무실 내부 이미지이다.

SDD 디자이너로서 어떤 내일을 바라보고 있나.

Mahelaqua 현지와 글로벌 혁신을 동시에 이끌 Z세대와 밀레니얼 사용자의 점차 커지는 영향력에 집중하는 것이 SDD의 비전이다. 그로 인해 현지와 글로벌 혁신을 동시에 이끌 수 있다고 믿는다. Monika 서남아시아 해외 디자인 연구소로서 지역적, 세계적으로 우리의 위치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지속적인 리서치, 사용자와의 소통으로 충족되지 못한 불분명한 현지 요구를 맞춰갈 것. 앞으로도 서울 오피스와의 협업을 통해 세계성(Global)과 지역성(Local)의 정수를 담는 디자인을 해 나갈 예정이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