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July 17, 2025 Calm yet Resonant: Subtle Power in Design Bespoke AI 세탁기/건조기 디자인 스토리
해가 들어오는 공간에 다양한 타입의 세탁기와 건조기가 나란히 놓여 있다.

간결한 디자인을 만드는 과정은 결코 간결하지 않다. 선 하나를 덜어내기 위해서는 수많은 아이디어의 발산, 과감한 시도, 그리고 치열한 고민이 필요하다. 군더더기 없이 심플한 디자인으로 세탁 경험의 본질만 남긴 Bespoke AI 세탁기와 건조기, 그 탄생 과정을 디자이너의 인터뷰로 만나보자.

본 콘텐츠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해 연출된 이미지입니다. 실제 제품은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출시되는 제품의 세부 사양은 국가별, 지역별, 모델별 다를 수 있습니다.
  • 박진선

    DA 사업부 디자인팀
    제품 디자이너

  • 고의균

    DA 사업부 디자인팀
    제품 디자이너

  • 송지헌

    DA 사업부 디자인팀
    제품 디자이너

넓은 하늘 아래, 단정한 직육면체 형태의 건축물이 평평한 흰색 바닥 위에 놓여 있다. 넓은 하늘 아래, 단정한 직육면체 형태의 건축물이 평평한 흰색 바닥 위에 놓여 있다.
복잡했던 상단 구조가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간결하게 정리된 모습.

Bespoke AI 세탁기와 건조기 외형이 전체적으로 달라졌다. 디자인이 바뀌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7인치 디스플레이가 단독 세탁기, 건조기, 원바디, 콤보 등 다양한 폼팩터에 동일하게 적용되면서 새로운 디자인 랭귀지가 필요했다. 세탁기와 건조기는 오랜 기간 주방이나 다용도실의 기능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온 제품으로, 공간 내 시각적 조화보다 내구성과 실용성이 우선시 되어 왔다. 하지만 이번에는 군더더기 없는 외형으로 집안 인테리어와 조화롭게 어울리는 가구 같은 디자인을 만드는데 집중했다.

화이트 톤의 깔끔한 주방 인테리어에 빌트인 형태의 드럼 세탁기가 매립되어 있고, 상단에 간결한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어 있다. 화이트 톤의 깔끔한 주방 인테리어에 빌트인 형태의 드럼 세탁기가 매립되어 있고, 상단에 간결한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어 있다.
* 이 이미지는 생성형 AI(ComfyUI, MagnificAI, Midjourney)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그렇게 완성된 모습을 보면 이전 대비 훨씬 간결하고 단정해 보인다.

이전 제품의 경우 상단 파트가 분리되며 만드는 선들이 있었다면, 이번 디자인은 분절 없이 매끈한 하나의 바디가 특징이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세탁기 세제함과 건조기 물통을 손잡이가 아닌 푸시/풀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바꿔 디자인을 단순화했다. 또 7인치 디스플레이를 통한 터치 인터랙션으로 제품 조작 방식이 바뀌면서, 기존 물리 버튼에 비해 디테일이 깔끔하게 정리되었다.

옆에서 봤을 때 디자인 변화가 눈에 띈다.

가구같이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 슬림하고 세련된 인상을 줄 수 있도록 가구 패널과 비슷한 두께로 전면을 마감하고, 사이드로 이어지는 면에 파트를 추가했다. 또 전면과 사이드의 색을 맞췄던 기존 제품과 다르게, 전면 외 나머지 영역은 모두 블랙으로 통일시켜 양산 효율성을 높였다.

  • 세탁기의 측면과 세부 디테일이 다양한 앵글로 연출되어 있다.
  • 세탁기의 측면과 세부 디테일이 다양한 앵글로 연출되어 있다.
  • 세탁기의 측면과 세부 디테일이 다양한 앵글로 연출되어 있다.

옆에서 봤을 때 디자인 변화가 눈에 띈다.

가구같이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 슬림하고 세련된 인상을 줄 수 있도록 가구 패널과 비슷한 두께로 전면을 마감하고, 사이드로 이어지는 면에 파트를 추가했다. 또 전면과 사이드의 색을 맞췄던 기존 제품과 다르게, 전면 외 나머지 영역은 모두 블랙으로 통일시켜 양산 효율성을 높였다.

세탁기와 건조기가 상하로 결합된 원바디 구조에서, 상단과 하단이 맞닿으며 생기는 피팅 라인을 정밀하게 설명하는 이미지가 롤링된다.

다양한 폼팩터에 일관된 디자인을 적용하는 데 있어 어려움은 없었나?

원바디는 상/하 구조이기 때문에 단독 세탁기나 건조기 또는 콤보와는 다른 디자인 디테일이 필요했다. 먼저 디스플레이, 건조기 열교환기 등이 위치한 중앙 컨트롤 파트(Control Part)가 안정적으로 분리되고 결착되도록 제작해 사용자가 쉽게 기기를 관리할 수 있게 했다. 디스플레이를 조작하고 열교환기를 관리하는 등 사용성과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위치를 잡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다. 여백을 맞추는 일이 간단해 보이지만, 기계 구조를 고려한 정밀한 계산과 미세 조정이 필요했다.

세탁기와 건조기가 나란히 설치된 화이트 톤의 깔끔한 주방 공간 세탁기와 건조기가 나란히 설치된 화이트 톤의 깔끔한 주방 공간
* 이 이미지는 생성형 AI(ComfyUI, MagnificAI, Midjourney)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기존 사용성과 구조를 바꾸는 작업이 쉽지 않았을 것 같다.

특히 세탁기 세제함과 건조기 물통의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손잡이를 없애기 위해 푸시/풀 방식을 구현하는 게 쉽지 않았다. 하지만 새롭게 추가된 7인치 디스플레이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꼭 없애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용성 측면에서도 손잡이로 여닫는 것보다 푸시/풀 방식이 훨씬 쉽고 편하기도 하다.


결국 다양한 연구와 테스트를 거쳐 세탁기와 건조기 두 제품 모두 적용 가능한 푸쉬/풀 방식을 완성해 냈다. 이는 우리가 생각하는 디자인 방향성에 대해 깊이 공감하고 함께 협업한 개발팀과 이뤄낸 결과라 생각한다.

세탁기와 건조기 상단 디스플레이 화면에 노멀, AI 옵티 워시 앤 드라이, 슈퍼 스피드 등 다양한 옵션이 표시되어 있다. 세탁기와 건조기 상단 디스플레이 화면에 노멀, AI 옵티 워시 앤 드라이, 슈퍼 스피드 등 다양한 옵션이 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가 삽입되면서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도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품과 직접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기기 조작 경험이 확장됐다. 예를 들어 Bespoke AI가 제안하는 최적화된 세탁 방식을 바로 확인하고 실행하거나, 스마트싱스로 연결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일들을 세탁기 또는 건조기만으로도 할 수 있게 됐다.

콤보, 세탁기, 원바디 등 타입은 다르지만 입면 디자인의 통일성이 느껴지는 제품들이 흰 바닥과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놓여 있다. 콤보, 세탁기, 원바디 등 타입은 다르지만 입면 디자인의 통일성이 느껴지는 제품들이 흰 바닥과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놓여 있다.

가전 제품을 디자인을 하는 데 있어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모터로 작동하는 제품인 만큼 역학 반응과 하드웨어 구조를 고려해 디자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원바디나 콤보가 아닌 단독 세탁기와 건조기 구매 후 병렬로 설치하는 사용 시나리오에서는 문을 더 위로 옮기면 옮길수록 사용 편의성이 훨씬 높아진다. 하지만 이는 곧 하드웨어 전반을 다시 설계해야 하는, 디자인 너머의 더 큰 혁신이 필요하다. 이처럼 약간의 변화에도 다양한 변수와 도전이 나타나 어렵기도 하지만 그 이상의 보람과 즐거움을 느낀다.

어떤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가?

청소기, 세탁기 등은 내가 하기 싫은 궂은일을 해주는 가전 제품으로, 우리 일상에 더 밀착된 편리함을 제공한다. 사용자를 더 깊게 이해하고, 그러한 공감을 바탕으로 더욱 쉽고 편안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을 디자인하고 싶다. 우리가 디자인한 제품을 사용자가 애착을 갖고 사용한다면 더 없는 기쁨이 될 것 같다.

닫기